시중은행 전환 대구은행 ‘iM뱅크’ 달고 새출발

DGB금융그룹, 새 CI 선포…계열사 ‘iM’ 브랜드 일체화

입력 2024-06-05 19:22:45
- + 인쇄
시중은행 전환 대구은행 ‘iM뱅크’ 달고 새출발
5일 iM뱅크 본점에서 열린 DGB금융그룹 뉴 CI 선포식 및 iM뱅크 제막식에서 황병우 DGB금융그룹 회장 겸 iM뱅크 은행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DGB금융그룹 제공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DGB대구은행이 사명을 ‘iM뱅크’로 바꾸고 새 출발을 알렸다. 새 시중은행 등장은 1992년 평화은행 이후 32년 만이며, 신한·우리·하나·한국씨티·KB국민·SC제일은행에 이은 7번째다. 

DGB금융그룹은 5일 iM뱅크 본점 열린광장에서 황병우 DGB금융그룹 회장 겸 iM뱅크 은행장과 임직원, 홍준표 대구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그룹의 새로운 CI 선포식과 iM뱅크 제막식을 가졌다. 

iM뱅크는 57년 동안 이어온 대구은행 간판을 내리고 새얼굴로 전국 영업에 돌입한다.

‘거점점포+디지털 금융’으로 기존 시중은행과 경쟁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중 신용등급자와 기업금융(IB)에 특화시켜 나간다.  

시중은행 첫 번째 오프라인 점포는 강원도 원주로 정했다. 앞으로 3년 동안 수도권과 충청·강원 등지에 영업점 14곳을 신설할 계획도 마련했다. 거점정포에는 기업영업지점장(PRM) 제도를 활용해 효율성을 높인다.

iM뱅크는 지난해 7월 정부가 은행산업의 경쟁 촉진을 위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뒤 지난 4월 지방은행에서 시중은행으로 인가내용을 변경하는 은행업 본인가를 금융위에 신청, 지난달 인가를 받았다. 

시중은행 전환 대구은행 ‘iM뱅크’ 달고 새출발
iM뱅크가 시중은행 전환으로 57년 동안 이어온 대구은행 간판을 내리고 새얼굴로 단장했다. iM뱅크 제공

iM뱅크 탄생으로 DGB금융그룹은 계열사 사명에 iM을 붙여 일체화한다. 하이투자증권은 iM증권, DGB생명은 iM라이프생명보험, DGB캐피탈은 iM캐피탈, 하이자산운용은 iM에셋자산운용으로 변경된다. DGB유페이, DGB데이터시스템, DGB신용정보, 하이투자파트너스도 iM을 사용한다. 뉴지스탁은 핀테크 기업의 특성을 살려 기존 사명을 유지하되, 신규 CI를 적용해 그룹 브랜드와 통일할 계획이다. 

이날 공개된 새로운 CI는 반세기를 이어온 기존 심볼을 재해석해 DGB의 헤리티지를 계승하고 그룹 브랜드 아이덴티티인 ‘Boundless(경계가 없는)’와 ‘Go Beyond’를 반영해 변화와 혁신의 의지를 담았다. 

CI의 좌측 직사각형은 소문자 ‘i’를 연상시키며 ‘나에게 맞춰진 똑똑한 금융’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중간에는 ‘M’의 포개짐을 형상화하며 ‘따뜻한 관계형 금융’이라는 의미를 강조했다. 또 푸르른 ‘새싹’과 미래의 희망을 상징하는 ‘파랑새의 날개짓’ 이미지를 중의적으로 담아 새로움과 미래, 창의성을 적극 반영했다.

시중은행 전환 대구은행 ‘iM뱅크’ 달고 새출발
5일 iM뱅크 본점에서 열린 DGB금융그룹 뉴 CI 선포식 및 iM뱅크 제막식에서 황병우 DGB금융그룹 회장 겸 iM뱅크 은행장, 홍준표 대구시장 등이 제막 버튼을 누르고 있다. DGB금융그룹 제공

황병우 회장은 “iM뱅크는 지방은행에서 시중은행으로 전환된 첫 사례로, 그동안 사랑과 지지를 보내주신 고객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디지털 접근성, 비용 효율성과 같은 인터넷전문은행의 장점과 중소기업 금융 노하우를 갖춘 지역은행의 강점을 결합해 대구에 본점을 둔 가장 지역적인 전국은행이 되겠다”고 말했다.

홍준표 대구장은 “지역과 함께 성장해온 대구은행의 지역은행 최초 시중은행 전환을 축하한다”며 “전국 은행으로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TK신공항과 달빛철도 건설 등 지역의 대형 프로젝트가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변함없는 지원을 당부드린다”고 했다.

대구=최재용 기자 gd7@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