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속고인양지역위, "경동대의 동우대 먹튀 행태에 속초시는 '뒷짐'"

"경동대 옛 동우대 헐값 매입 후 수백억 시세차이 매각 추진 "
"미온적⋅안일한 대응중인 시에 강력한 법적·행정적 조치 촉구"

입력 2024-06-04 14:24:02
- + 인쇄
민주당 속고인양지역위,
학교법인 경동대가 수백억원의 시세차익으로 옛 동우대 부지를 공개매각하려하자 2일 강원 속초시 각급 시민사회단체들이 학교 앞에 반대 내용을 담은 게시물을 걸고 반발하고 있다. 조병수
학교법인 경동대학교가 폐교한 강원 속초시 옛 동우대학 부지를 헐값에 사들여 수백억원의 시세 차익으로 매각을 추진, 지역사회가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막아야할 속초시가 뒷짐만 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도균 더불어민주당 속초·인제·고성·양양 지역위원장(이하 더불어민주당 속고인양지역위)은 4일 경동대의 옛 동우대 부지 매각 행위를 차단하는 조치가 긴급한 시점으로 긴급한 조치가 필요한 시기임에도 속초시가 아무런 대응 없이 수수방관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며 속초시의 강력한 법적·행정적 조치를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속초시민은 속초시의 안일한 대응을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지만 속초시와 이병선 속초시장은 사태해결의 골든타임 기간임에도 허송세월만 보내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아울러 "속초시민의 분노에도 경동대 학교재단이 끝내 먹튀하고, 민간매입자의 배만 부르게 하지 않을까? 혹은 옛 동우대 부지가 공익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수익형 모델로 개발되어 난개발로 가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고 표명했다.

아울러 "속초시는 지난달 학교용지 매각 사유 및 공공기여 방안에 대한 의견제출을 요청하는 공문서 2회 발송과 알맹이 없는 부동산 매각 규탄 성명서만 발표했을 뿐"이라며 "이와 같은 미온적이고 안일한 대응에 속초시민을 대신해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역주민들의 헌신으로 조성된 옛 동우대 부지를 지역사회와 아무런 협의없이 일방적으로 매각을 진행하는 몰염치하고 파렴치한 경동대의 행위에 모든 시민들이 분노하는 상황이며 속초시는 이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조속히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옛 동우대 부지는 속초 역세권개발 선도지구와 연접하고 있으며 따라서 속초발전 추세상 미래세대를 위한 전략적인 도시관리계획이 필요한 곳"이라며 "특히 공익적 활용을 위한 도시계획 입안이 적극 추진해 사적이익을 극대화하는 수익형 개발보다는 속초시의 미래 발전을 위한 공익형 개발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표명했다.
민주당 속고인양지역위,
학교법인 경동대가 수백억원의 시세차익으로 옛 동우대 부지를 공개매각하려하자 강원 속초시 각급 시민사회단체들이 학교 앞에 반대 내용을 담은 게시물을 걸고 반발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일 장사항 인근 도로변에 걸린 현수막 모습. 조병수

이를 위해 더불어민주당 속인고양지역위는 속초시에 경동대 부동산 입찰공고 취소 가처분 신청 제기, 부지 개발행위 허가 제한지역 지정 고시, 경동대의 옛 동우대 부지 대한 교육용재산의 수익용재산으로 변경 허가 및 매각 승인에 대한 제고 교육부에 요청 및 효력 정지 등 법적조치를 조속히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속인고양지역위는 옛 동우대 부지 매각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속초시 전·현직 의원단 등을 중심으로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민주당 속고인양지역위,
경동대가 지난 2013년 매입한 옛 동우대학. 사진은 지난 2일 10여 년간 방치된 동우대 건물 모습. 조병수 
한편 경동대는 최근 수백억원의 시세차익을 노리고 옛 동우대 매각을 추진하면서 지역사회가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경동대는 지난 2013년 속초시 시유지가 포함된 동우대 캠퍼스 부지 30만㎡(시유지 18만㎡)와 건물 10여 개 동을 헐값에 매입한 뒤 교육용 재산을 수익형 재산으로 공개매각을 추진, 수백억원의 시세 차익이 예상되면서 지역 사회 단체가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는 1980년 옛 동우대 설립 당시 속초시가 시유지 약 18만㎡를 3.3㎡당 2300원을 적용 1억2900여 만원의 초저가에 매각했기 때문이다.

경동대는 현재 관련법에 따라 교육부 처분 허가를 받아 공개 매각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토지와 건물 등을 합쳐 매각 공개 입찰 예정가격은 총 855억원이며 오는 7월 초쯤 최종 낙찰자를 결정할 예정이다.

조병수 기자 chobs@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