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야후 이어 소프트뱅크도…네이버와 ‘헤어질 결심’ 재확인

- 소프트뱅크, 주주총회서 “라인야후와 지분 협상 중” 재차 언급
- 라인야후도 ‘탈네이버’ 가속화…라인페이 중단·신중호 사내이사 제외
- 야당서 현안질의 진행하지만…“네이버 아닌 소프트뱅크 불러야”

기사승인 2024-06-20 17:35:14
- + 인쇄
라인야후 이어 소프트뱅크도…네이버와 ‘헤어질 결심’ 재확인
미야카와 준이치 소프트뱅크 CEO가 20일 소프트뱅크 주주총회를 진행하고 있다. 소프트뱅크 주주총회 온라인 영상 캡처 

일본의 국민 메신저 ‘라인’ 관련 일본 기업들이 네이버와의 결별을 재확인했다.

소프트뱅크는 20일 오전 10시 주주총회를 열고 네이버와 라인의 운영사 ‘라인야후’에 대한 지분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미야카와 준이치 소프트뱅크 CEO는 “라인야후 요청을 받아들여 보안 거버넌스와 사업 전략 관점에서 네이버와 계속 협의를 하고 있다”며 “현시점에서는 합의에 이르지 않았다. 상대방이 있기 때문에 합의 시기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변이 어렵다. 지속해서 협의를 거듭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소프트뱅크는 네이버와 라인야후를 공동으로 운영해 왔다. 라인야후의 모회사인 A홀딩스의 지분을 각각 50% 보유하고 있다. 양사는 현재 지분 비율을 두고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지분 협상 배경에는 지난해 라인야후에서 네이버 클라우드를 통한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있다. 일본 정부는 개인정보 유출 사건을 계기로 라인야후에 사이버 보안 강화를 위한 행정지도를 내렸다. 네이버와의 자본관계 재검토도 포함됐다. 일본 정부는 다음 달 1일까지 구체적인 대응책을 제시하도록 요구한 상태다.

라인야후 이어 소프트뱅크도…네이버와 ‘헤어질 결심’ 재확인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CEO가 18일 주주총회에서 네이버와의 관계 단절 가속화를 강조했다. 라인야후 주주총회 영상 캡처. 

라인야후도 탈네이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라인야후는 지난 18일 주주총회를 열고 사내이사를 재선임했다. 카와베 켄타로 라인야후 대표이사 회장과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CEO는 재선임됐으나, 신중호 라인야후 최고상품책임자(CPO)와 오케타니 타쿠 최고전략책임자(CSO)는 명단에서 제외됐다. 유일한 한국인이었던 신 CPO가 물러남에 따라 라인야후 이사진은 모두 일본인으로 채워졌다. 

이와 함께 라인야후는 주주총회에서 ‘네이버와의 관계 단절’을 보안 강화책으로 제시했다. 네이버클라우드와 종업원용 시스템·인증 기반의 분리를 오는 2025년 3월 안에 완료하겠다는 것이다. 라인야후의 자회사도 오는 2026년 중에 네이버와 시스템 분리를 완료, 한층 앞당기겠다고 발표했다. 시스템뿐만 아니라 서비스 및 사업 영역에서도 네이버와의 위탁 관계를 끊겠다는 계획이다. 

라인야후 이어 소프트뱅크도…네이버와 ‘헤어질 결심’ 재확인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20일 주주총회에서 주주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소프트뱅크 주주총회 온라인 영상 캡처 

반대로 소프트뱅크와의 거리는 더욱더 좁혀가고 있다. 라인야후는 보안 강화 방안으로 소프트뱅크를 포함한 ‘그룹 CISO’ 보드를 설치할 예정이다. CISO는 최고정보보호책임자를 뜻한다. 라인페이 서비스 종료도 비슷한 맥락으로 분석된다. 라인야후는 일본에서 4400만명이 이용 중인 라인페이를 종료, 희망자에 한해 소프트뱅크의 페이페이로 잔액을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미야카와 CEO는 향후 라인야후와의 시너지에 대한 질문에는 “라인야후가 제공하는 통신 인프라, 인터넷 서비스와 소프트뱅크의 강점을 결합하면 매우 강력해진다”며 “라인야후와 페이페이가 협력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서비스를 만들고 싶다”고 이야기했다.

라인야후 이어 소프트뱅크도…네이버와 ‘헤어질 결심’ 재확인
네이버 본사 사옥. 연합뉴스 

국내에서는 라인이 이대로 일본 기업에 넘어갈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오는 25일 라인야후 사태에 대한 현안질의를 진행할 방침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 정부 고위 관계자는 증인으로,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참고인으로 채택됐다.

다만 네이버가 아닌 소프트뱅크 측의 참고인 소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공정과 정의를 위한 IT시민연대(준비위)’ 위원장을 맡은 위정현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일본 기업에서 보안 강화책으로 네이버와의 관계 단절을 내놓는 것은 이미 예측됐던 바다. 네이버의 지분 매각을 기정사실화하기 위한 작업”이라며 “국회에서도 네이버가 아닌 소프트뱅크를 공략하는 등 우회적으로 압박을 가할 필요가 있다”고 이야기했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라인야후 이어 소프트뱅크도…네이버와 ‘헤어질 결심’ 재확인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