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치료 체계 전환으로 140만명까지 대응 가능”

집중관리군 중심 재택치료 운영시 관리 여력 7배 늘어 일일 확진자 21만명에도 대응

기사승인 2022-02-10 12:41:20
- + 인쇄
“재택치료 체계 전환으로 140만명까지 대응 가능”
서울 중구 서울역 광장 임시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길게 줄 서 있다.   사진=임형택 기자

방역당국이 새 재택치료 체계 전환으로 재택치료 관리 가능 인원이 140만명까지 늘 것으로 전망했다.

방역당국은 10일부터 재택치료 체계를 ‘일반관리군’과 집중관리군‘으로 나눠 관리하기로 했다. 코로나19 확진자 가운데 60세 이상이거나 50대 기저질환자, 코로나19 먹는 치료제인 ‘팍스로비드’ 투약대상자로서 집중관리가 필요한 사람은 집중관리군으로 구분돼 하루 2회 의료기관으로부터 모니터링을 받게 된다. 일반관리군은 별도의 모니터링 없이 필요시 동네 병·의원 등에서 전화로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방역당국은 현재 608개의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을 거점전담병원 등을 활용해 650개까지 추가 확충할 계획이다. 체계 전환으로 집중관리군 중심으로 재택치료를 운영하게 되면 관리 여력이 약 7배 늘어 일일 확진자 21만명 발생까지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재택치료 대상자는 17만4177명다. 관리가능 인원은 18만9000명으로 현재 92.1%의 가동률을 보이고 있다.

최종균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재택치료반장은 10일 출입기자단 온라인 설명회에서 “(재택치료 체계 전환으로) 140만명 정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며 “일일 확진자 21만명까지 대응 가능하리라고 보고 있다. 재택치료 환자가 전체 확진자의 90%정도라고 본다면 하루 19만명 정도가 재택치료에 들어가고 격리 기간인 7일을 고려하면 140만명 정도 대응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방역당국은 재택치료 체계를 전환하면서 국민의 자율과 책임에 기반한 방역정책을 시행해 현재의 격리 정책으로 인한 장기간 격리·외래이용 불편 등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보건소에 몰렸던 업무부담을 경감시켜 효율적인 방역 업무 수행이 가능하리라고 보고 있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