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화된 우리금융, 차기 회장 둘러싼 불편한 현실 [친절한 쿡기자]

기사승인 2023-01-17 16:18:39
- + 인쇄
민영화된 우리금융, 차기 회장 둘러싼 불편한 현실 [친절한 쿡기자]

“바깥만 바라보고 있는 곳이잖아요. 임원들이 내실을 다지기 보다는 학연, 지연, 인맥을 통한 외부 줄타기만 하니 제대로 돌아갈지 의문입니다.”

수년 전 금융권 고위 관계자가 우리금융지주(전 우리은행)를 두고 한 말입니다. 2014년 당시에도 우리은행 행장 인선을 두고 말이 많았습니다. 민영화를 앞두고 있어 권력 암투가 그 어느 때보다 심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그동안 우리금융에 외풍이 심했던 이유는 IMF 외환위기로 금융사가 줄도산 하던 2001년, 공적자금이 투입됐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100% 지분을 가지고 있던 2000년 초반에는 우리금융 회장으로 낙하산 인사가 줄줄이 내려왔습니다.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전신) 출신인 황영기, 박병원 등이 대표적인 인물들이었지요. 정부가 인사와 자금배분에 직접 개입하는 관치금융이란 오명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때입니다.

우리금융이 정부 입김에서 조금씩 벗어날 수 있었던 시점은 2010년도 이후 진행했던 계열사 분할 및 과점주주 매각 방식 등으로 민영화를 시작하면서 부터입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은행 중심에서 금융지주 체제로 재출범되기도 했습니다. 20년만에 완전한 민영화에 성공한 지난해에는 연간 순이익 3조원이 넘는 국내 5대 금융사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잘 나갈 것만 하던 우리금융이 또 다시 외풍에 흔들리고 있습니다. 우리금융은 손태승 회장 임기 만료를 앞두고 차기 회장 선정 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완전 민영화와 순이익 성장 등 실적을 앞세워 손태승 회장의 연임이 유력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손 회장이 금융당국으로부터 라임사태와 관련해 ‘문책경고’라는 중징계 처분을 받으면서 상황이 급변했습니다. 라임사태는 투자자에게 1조6000억원대 피해를 안긴 희대의 금융사기 사건입니다. 금융당국 처분 이후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감원장은 공개석상에서 손 회장에 대해 각각 “책임이 명확하다”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며 사실상 용퇴를 종용했습니다.

아직까지 손 회장은 거취를 표명하지 않고 있습니다. 손 회장이 연임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중징계 결정 효력이 정지되도록 가처분 신청을 내고 본안 소송도 제기해야 합니다. 문책경고를 받은 임원은 향후 3년 간 금융사 재취업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에 맞서 행정소송을 강행하면서 우리금융 수장 자리에 오르더라도, 새로운 임기 기간 중 사법리스크는 불가피해 보입니다. 여기에 금융당국과 마찰 등 외부 잡음에 고스란히 노출될 게 불보 듯 뻔합니다.

우리금융의 혼란한 틈을 타고 외부 낙하산 인사가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 조준희 전 기업은행장 등이 유력 후보군으로 떠올랐습니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 대선캠프에서 직능본부 금융산업지원본부장을 맡았던 조 전 행장에겐 우리금융 내부 임원들이 이미 줄을 서고 있다고 합니다.

뼈를 깎는 내부 개혁과 구성원의 희생으로 20년만에 민영화에 성공한 우리금융이 관치금융 늪으로 빠지는 모습은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그렇다고 사법리스크가 있는 손 회장의 연임도 문제 있어 보입니다. 

그렇다면 대안은 없는 걸까요? 우리금융과 흥망성쇠를 함께 하며 헌신했던 내부 임원은 어떨지? 또 영호남 출신이 아닌 지역 안배를 고려한 묘안은 없는 건지? 선택의 몫은 IMM PE·한국투자증권·키움증권·푸본생명·유진PE·한화생명 등 6개 업체로 구성된 과점주주가 추천한 우리금융지주 이사회에 달렸습니다. 내실을 다지며 그룹 성장에 누가 적합한 인물인지, 이사회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합니다.

김태구 기자 ktae9@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