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항 ‘컨’물동량 4월 누계 기준 11.6% 증가

입력 2024-06-12 16:04:16
- + 인쇄
광양항 ‘컨’물동량 4월 누계 기준 11.6% 증가
광양항 전경(공사 제공)

여수광양항만공사는 4월 누계 광양항 ‘컨’물동량이 전년 동기 58만5천TEU 대비 11.6%(6만7천TEU) 증가한 65만2천TEU를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4월 한 달간 전년 동월 대비 24.3% 증가한 17만4천TEU를 처리함으로써 2022년 1월 이후 최대 월간실적을 기록하는 한편, 작년 6월부터 이어진 물동량 증가추세를 11개월 연속 이어 나갔다.

세부적으로 수출입 ‘컨’화물은 중국 수출 물동량 2.5%(3천TEU) 감소에도 불구하고, 미국 20.6%(1만3천TEU), 동남아 7.4%(8천TEU), 일본 32.3%(4천TEU), 중남미 49.5%(2천TEU) 교역물량 증가로 전년 대비 4.0%(2만1천TEU) 증가했다. 

환적 ‘컨’화물은 지난해 중남미, 유럽 원양 서비스 신규 유치에 따른 환적 물동량 발생 및 인트라아시아 선사의 중국 적‘컨’(Full Container) 환적 물동량 증가로 전년 대비 78.7%(4만9천TEU) 증가했다.

최근 광양항 ‘컨’물동량의 지속적인 상승세는 ‘고객 최우선주의’와 ‘발로 뛰는 영업’ 경영방침에 따라 매년 130 여회 이상 중단 없이 추진한 컨테이너 영업 활동과 부두 운영사와의 공동마케팅이 그 결실을 맺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간 코로나 팬데믹과 중국 봉쇄, 국내 ‘컨’터미널 신규 개장 등에 따른 광양항 패싱 및 러‧우 전쟁 발발 등으로 ‘컨’물동량이 감소하여 186만TEU로 정체되었지만, 국내‧외 고객과의 소통을 멈추지 않았던 것이 주효했다는 전언이다.

2022년부터 핵심선사 및 포워더 초청 감사설명회 Y.E.S. Day* 프로그램을 정례화하고, “1개 선사 1개 신규항로 유치” 캠페인을 지속한 결과 2년간 중남미, 유럽 등 16개 신규서비스를 유치하고, 미주 서비스 2개 초대형선박 업사이징(Upsizing) 등을 통해 연간 약 25만TEU 신규 물동량을 창출했다.
   
광양항 ‘컨’부두 활성화 대토론회 개최(2회), 순천대 물류학회 주관 학술대회 개최 지원(3회)으로 애로사항과 현안을 청취하고, 3년 연속 인센티브 60억원 편성, ‘컨’부두 하역장비 예산지원 등 실효적인 정책을 시행했다. 

아울러 신규서비스 입항 기념식, TOP10 선사 깃발 게양식, 핵심선사 1만척 입항 및 신조선박 여수‧광양보이저호 기념식 등 타 항만과 차별화된 고객감동 마케팅을 지속 추진해 왔다. 

특별히 올해 1월 선복량 기준 세계 2위 머스크와 5위 하팍로이드 선사 간 “제미나이 해운동맹” 신규결성 발표 이후 공사는 해운동맹 재편에도 신속 대응해 나가고 있다. 

지난 3월 제미나이 신규결성에 따른 광양향 영향 및 대응방안을 항만위원회에 보고하고, 4월 운영부사장이 세계 1위 MSC 스위스 본사 대상 포트세일즈를 추진하였으며, 지난달에는 사장이 직접 중국 상해 머스크 아시아운항본부 등을 운영사와 함께 방문하여 제미나이 동맹의 광양항 이용 증대 방안을 협의했다.

공사 박성현 사장은 “여수광양항은 2023년 기준 수출입물동량 2억4백만톤으로 국내 1위, 총물동량 2억7천6백만톤으로 국내 2위를 기록하는 등 대한민국 대표 수출입 관문항이자 석유화학‧제철‧자동차‧컨테이너 등 거의 모든 종류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국내 유일 최대 규모의 종합항만”이라며 “앞으로도 전방위적 영업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여수광양항 총물동량은 1분기 1.1백만톤(1.6%) 감소에서 4월 누계 전년 동기 91.2백만톤 대비 0.8백만톤(0.9%) 증가한 92.0백만톤을 기록했다. 

광양=전송겸 기자 pontneuf@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