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수 “감사와 약속의 정치할 것…국민이 만들어준 자리” [22대 쿡회]

“국민 삶 보듬는 정치와 정책 필요한 시점”
“주권 위임받은 대리인으로서 역할 다 할 것”

기사승인 2024-06-18 06:00:49
- + 인쇄
한민수 “감사와 약속의 정치할 것…국민이 만들어준 자리” [22대 쿡회]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8일 쿠키뉴스와 인터뷰에서 당선소감과 정치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박효상 기자

“정치는 정치인이 하는 듯 보여도 결국 국민이 하는 것입니다”


정치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강북을 의원이 꺼낸 말이다. 국민을 섬기고 뜻을 받드는 게 진짜 정치가 해야 하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한 의원은 18일 쿠키뉴스와 인터뷰에서 당선소감으로 지역 주민에 대한 감사를 전했다. 그는 “이번 총선에서 서울 강북을 주민의 소중한 선택을 받았다. 감사한 마음뿐”이라며 “기자로서 24년간 세상의 진실을 보는 눈을 키웠고 이제는 국민의 공복이 돼 더 나은 삶을 위한 입법·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더불어민주당을 아끼고 사랑하는 분들이 많았다. 당심이라는 것을 느꼈다”며 “후보 개인을 떠나 민주당이 이번 총선에 승리해야 대한민국이 좋은 방향으로 갈 수 있다는 생각을 한 유권자가 많았다”고 소회를 남겼다.

한 의원은 22대 총선에 담긴 민의로 ‘윤석열 정권의 독주 종식’을 꼽았다. 그는 “이번 총선의 민의는 분명했다. 윤 정권의 독주로 진행된 민주주의의 퇴행을 막으라는 국민의 명령”이라며 “대통령과 정부여당의 국정 기조 역시 경고의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민의 뜻에 반하는 정책과 태도를 유지한 게 그 원인이다. 국민은 이미 지난해 10월 강서구청장 보궐선거를 통해 엄중한 경고를 했다”며 “그럼에도 6개월간 국정 기조는 나아지지 않고 더 심해졌다”고 비판했다.

강북을 지역에 대한 애착도 드러났다. 선거운동 기간과 당선 직후 주민과 만난 얘기를 밝게 웃으면서 전달하기도 했다. 한 의원은 “선거운동 당시 경로당에서 당선되면 돌아오겠다고 했다”며 “당선 직후 다시 찾아가니 진짜 다시 돌아왔다고 반갑게 맞아 준 주민이 기억난다”고 말했다.

또 “유권자들은 사람이 변했는지 아닌지를 누구보다 잘 안다. 달라졌다는 소리를 들으면 오만하게 보인다”며 “주민이 저를 만들어줬고 그 마음을 잊지 못한다”고 전했다.

한민수 “감사와 약속의 정치할 것…국민이 만들어준 자리” [22대 쿡회]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8일 쿠키뉴스와 인터뷰에서 강북을 지역에 필요한 정책과 법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박효상 기자

한 의원에게 지역을 위해 해야 할 정책과 법안 등을 묻자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 △오현적환장 지하화 및 지상부 개발 △신강북선 서울시 도시철도망 계획 포함 △우이신설선의 왕십리역 연장 추진 등을 꼽았다.

그는 “강북을 지역은 재개발·재건축 문제를 빼놓을 수 없다. 서울연구원 통계에 따르면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후 원주민 재정착률은 27.7%에 불과하다”며 “원주민 지역 재정착을 높이기 위한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을 1호 법안으로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현적환장 지화화·지상부 개발과 신강북선 서울시 도시철도망 계획 포함, 우이신설선의 왕십리역 연장 추진 등 서울시의 협조가 필요한 현안이 있다”며 “당선 이후 오세훈 서울 시장을 만나 관련 내용을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한 의원은 당차원의 1호 법안인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순직 해병대원 특검법과 25만원의 민생지원금을 주는 내용을 골자로 한 민생위기극복특별조치법이 당론으로 채택한 1호 법안”이라며 “요즘 식당을 방문하고 소상공인을 만나보면 ‘코로나-19’ 시기보다 더 어렵다는 말이 나온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통령과 정부여당은 어려운 상황 속 국민의 삶을 보듬는 정책을 펴야 한다”며 “정부여당은 민생회복조치를 위한 각종 법안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경고했다.

한 의원은 앞으로의 의정활동 방향성에 대한 질문에 “국민이 정치를 한다. 여당과 야당이 어떻게 하는지 차곡차곡 쌓아두고 선거라는 계기를 맞아 냉정하게 심판을 한다”며 “개인보다 국민이 원하는 게 뭔지를 알아내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대통령은 5년, 국회의원은 4년간 국민의 주권을 위임받는다. 대리인이 주인행세를 하면서 권력을 사유화하는 경우가 있다”며 “이는 절대 용납할 수 없다. 정치하는 과정에서 위임받은 권한을 사적으로 쓰거나 가까운 이들을 위해 쓰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

한민수 “감사와 약속의 정치할 것…국민이 만들어준 자리” [22대 쿡회]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