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연안 갯벌 고립사고 ‘드론 순찰’로 차단

입력 2024-06-27 11:36:50
- + 인쇄
인천시, 연안 갯벌 고립사고 ‘드론 순찰’로 차단

인천시는 인천해양경찰서와 협업해 올 여름철 빈번하게 발생하는 갯벌 고립사고를 사전 차단에 차단하기 위해 드론 순찰을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무의도 하나개해수욕장과 영흥도 내리어촌계 인근 갯벌을 드론으로 순찰해 갯벌 활동객의 안전을 확보하고 구조 필요자 발견 즉시 알림 조치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시는 지난해 인천시 연안에서 갯벌 고립으로 인한 사망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인천해양경찰서와 야간 드론 시범 운영에 나서 880여 명을 출입통제구역과 위험지역에서 벗어나도록 계도했다.

시는 이를 통해 갯벌 사망사고 방지와 도보순찰 대비 드론의 위험 예방 우수 효과 등을 확인하고 올해도 드론 활용을 통해 갯벌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시는 오는 10월 31일까지 무의도 65일, 영흥도 35일로 총 100일 야간 간조 전 1시간 전 드론을 투입한다. 갯벌 이용객이 많아지는 7~8월 20일간 총 33회를 운영할 계획이다.

보통 갯벌 해루질은 물때(물이 빠지는 시간)를 고려해 사람이 적어 조용하고 조개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밤에 많이 진행되지만, 야간에는 시야제한으로 인해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 드론을 활용한 순찰은 이동이 자유로워 갯벌활동 인원파악을 위해 동원한 열영상장비(TOD)의 사각지대와 장거리 인원파악이 가능하다.

열화상 카메라와 확성기를 장착한 드론은 해경의 단속을 피해 불을 끄고 숨는 야간 갯벌활동객을 식별할 수 있고 안전수칙과 위험지역을 안내해 계도가 가능하다.

순찰 중인 드론은 위성항법장치(GPS)와 통신장비를 통해 실시간으로 위치가 확인돼 인명과 재산 피해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시는 갯벌 순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해 체계적인 안전관리 방안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김을수 인천시 해양항공국장은 “시범 운영을 통해 갯벌사고 예방의 드론순찰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드론운영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시민안전을 위한 관련 기관과의 협업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인천=이현준 기자 chungsongha@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