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재택치료자 최대 15만명까지 관리 가능

“보건소 행정 부담 커, 정부가 줄이겠다”

기사승인 2022-02-04 11:52:05
- + 인쇄
방역당국, 재택치료자 최대 15만명까지 관리 가능
서울 강남구 역삼동 하나이비인후과병원에 마련된 호흡기전담클리닉에서 의료진이 호흡기질환 환자와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진료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방역당국이 하루 평균 돌볼 수 있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재택치료자 수를 15만명까지 관리가 가능하다고 4일 밝혔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은 이날 오전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을 늘리고 모니터링 횟수도 줄였다”며 “이에 따라 10만명 정도 관리할 수 있던 것을 지금은 15만명까지 관리 가능하다”고 밝혔다. 

지난 3일부터 재택치료자 모니터링 횟수를 일반관리군은 현행 하루 2회에서 1회로, 집중관리군은 3회에서 2회로 조정했다. 의료인력의 관리 가능한 환자도 현재 100명에서 150명으로 확대했다.

재택치료자도 지속 증가하고 있다. 이날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만7443명으로 이중 2만1102명(87%)이 재택치료자로 분류됐다. 다만,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재택치료 여부 결정 등을 묻는 연락이 다소 늦어지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 보건소와 연락이 닿지 않고 키트 배송이 늦어지는 등 재택치료자 관리가 잘 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 제1통제관은 “기초역학조사, 공동격리 조사 등에 대해 보건소가 상당히 어려움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최대한 정부에서 보건소의 어려움을, 행정적 부담을 덜어드리도록 노력하겠다. 관리의료기관을 늘리고 시스템 개편 등도 같이 검토해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3일부터 오미크론 대응체계로 전환하며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을 빠르게 분류해 조기에 치료하고 치명률을 낮추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확진자가 쏟아지자 이런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신속항원검사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제때 검사를 받지 못하는 등의 일이 발생하고 있다.

이 제1통제관은 “환자가 많이 나오다 보니 보건소에서 행정적 부담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처음 시행하고, 한편으로 연휴가 끼다 보니 어려움이 있었다. 기존의 촘촘하고 세밀하게 준비했던 체계를 유연하고 신속한 체계로 바꿔 나가겠다. 보건소의 업무부담을 정부가 줄여나가겠다. 오미크론에 대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방역당국은 현행 거리두기 단계를 20일까지 2주 연장하기로 했다. 이 제1통제관은 “많은 전문가가 2월 말쯤 되면 정점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게 정점일지, 앞으로 지속될지 예단하기 어렵다”며 “그런 와중에 많은 소상공인들이 힘든 상황이다. 2주 정도 방역상황, 의료대응 여력 등을 살피고 2주 후 다시 결정을 내리자는 식으로 해서 2주간 연장하기로 결정됐다”고 설명했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