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일본뇌염 경보’ 발령…“위험지역 등 백신접종 필요”

기사승인 2023-07-27 17:14:00
- + 인쇄
전국 ‘일본뇌염 경보’ 발령…“위험지역 등 백신접종 필요”
사진=연합뉴스

질병관리청이 27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고, 예방수칙 준수와 적극적 백신 접종을 당부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체계 운영 결과 지난 26일 부산지역에서 채집한 모기의 91.4%(1115마리 중 1056마리)가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로 확인됐다.

이 같은 채집 결과는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 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 밀도의 50% 이상일 때’로 정해진 ‘경보 발령’ 기준에 해당한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일반적으로 6월 남부지역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7~9월 밀도가 높아지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10월 말까지 관찰된다.

일본뇌염은 주로 9~10월 사이 매년 20명 내외로 감염되며, 50대 이상의 감염 비율이 전체의 87%를 차지한다. 대부분 발열,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뇌염의 경우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는다.

일본뇌염은 백신을 통한 효과적 대응이 가능하다. 국가예방접종 지원 대상인 2010년 1월1일 이후 출생 아동은 표준 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하도록 권고되고 있다.

불활성화 백신은 생후 12~23개월 1개월 간격으로 1~2차 접종을 하며, 24~35개월(2차 접종 후 11개월 후)에 3차 접종을 갖는다. 이어 만 6세에 4차 접종을, 만 12세에 5차 접종을 받는다. 약독화 생백신의 경우 생후 12∼35개월 사이 1년 간격으로 2회 접종한다.

예방접종은 논, 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 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일본뇌염 위험국가에서 30일 이상 체류할 예정인 경우에도 권장된다. 

일본뇌염 위험국가로는 호주, 방글라데시, 부탄, 브루나이, 미얀마,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네팔, 북한,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러시아, 싱가포르, 스리랑카, 대만,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 등이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되면 곧 일본뇌염 첫 환자가 발생할 시기이므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예방접종 대상자는 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성일 기자 ivemic@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