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제2작전사령부, 경남 창녕 등 10개 지역에서 유해발굴사업 진행

입력 2024-03-18 10:49:31
- + 인쇄
육군 제2작전사령부(이하 2작전사)는 호국용사들의 유해를 찾아 조국의 품으로 모시기  위해 18일 경남 창녕에서 '24년 첫 유해발굴을 시작했다.

이번 유해발굴은 11월15일까지 약 9개월의 기간에 걸쳐 경남 창녕, 충북 단양, 전남 화순, 경북 영천 등 6·25전쟁 격전지 10개 지역에서 2작전사 장병 및 예비군 1만8000여명을 투입해 시행한다.

육군 제2작전사령부, 경남 창녕 등 10개 지역에서 유해발굴사업 진행
지난 15일 육군 2작전사령부 예하 39사단 장병들이 '24년 경남 창년에서 시행되는 첫 유해발굴을 앞두고 박진 전쟁기념관에서 개토식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제2작전사령부.

첫 유해발굴이 이루어지는 경남 창녕 오봉능선 오봉능선 일대는 1950년 8월부터 9월까지 대한민국의 최후의 보루인 낙동강 방어선을 수호하기 위해 국군 제17연대와 美 제2⋅24사단, 美 해병 제1임시여단이 북한군 제2, 4, 9, 10사단과 치열한 낙동강 돌출부 전투를 펼친 장소 일대는 낙동강 방어를 위해 ‘8월의 공방전’이 치러진 격전지로, 39사단 솔개여단 장병 150여 명이 투입되어 4월 12일까지 발굴작전이 시행된다.

부대는 성과있는 유해발굴을 위해 지역전사 연구, 지형분석, ‘부산 전쟁기념관’ 현장체험 및 견학을 통해 호국정신과 유해발굴작전 의지를 고양했다. 또한 2주간의 2작전사 유해발굴팀 주관 집체교육을 실시하며 뼈대학, 유해·유품 수습 요령 등 유해 발굴 노하우를 습득했다.

한‧미는 지난 2000년부터 6·25전쟁 전사자들의 유해를 찾기 위해 공동 유해발굴을 추진해왔다. 공동유해발굴은 6·25전쟁 당시 함께 싸운 양국의 호국영령을 찾기 위해 상호 협력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번 공동 유해발굴에는 미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 관계자 10명 등 총 50명이 투입될 예정이다.

2작전사는 2000년부터 6·25전쟁 당시 격전지였던 전남 화순을 비롯해 전북 정읍, 충북 단양, 경북 문경 및 영천, 경남 창녕 및 함안 등 지역에서 유해발굴사업을 실시해 총 3,524구의 유해를 발굴했다.

지난해에는 2작전사 예하 6개 사단, 연인원 1만7200여명의 병력을 투입하여 총 39위의 유해와 4346점의 유품을 찾는 값진 성과를 얻기도 했다.

2작전사 인사처장 황은성 준장은 “유해발굴사업은 조국을 위해 아낌없이 목숨을 바친 호국영령들을 잊지 않고 꼭 가족의 품으로 보내드리고자 하는 국가의 무한 책임의지에 표본”이라며, “6·25전쟁 중 산화하신 선배전우들의 헌신을 2작전사 전 장병이 끝까지 잊지 않겠다!”고 전했다.  

함안=최일생 기자 k7554@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