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사, ‘대왕고래’ 가스전 시추 착수비 120억원 우선 확보

기사승인 2024-06-16 15:30:12
- + 인쇄
정부·공사, ‘대왕고래’ 가스전 시추 착수비 120억원 우선 확보
경북 포항 영일만 일대에 최대 140억배럴 규모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 미국 액트지오(Act-Geo)의 비토르 아브레우 대표가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과 관련한 브리핑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와 한국석유공사가 오는 12월부터 ‘대왕고래’를 포함한 동해 심해 가스전 유망구조 중 한 곳을 골라 첫 탐사 시추에 나설 예정인 가운데 우선 올해까지 들어갈 ‘착수비’ 성격의 재원 약 120억원은 확보됐다.

다만 이 같은 초기비용 외 향후 최소 5개의 시추공을 뚫기 위해서는 내년부터 연간 1000억원 이상의 재원이 꾸준히 투입해야 한다. 정부가 자본 잠식 상태인 석유공사에 예산 지원을 하려면 국회의 협조가 필요하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석유공사는 첫 탐사 시추를 위한 착수금 성격의 예산 약 120억원을 마련했다.

이 가운데 약 60억원은 정부가 올해 석유공사에 출자한 481억원 중 일부를 동해 심해 가스전 시추 사업에 활용하는 방식으로 마련됐다. 나머지 약 60억원은 석유공사의 자체 자금을 활용한다.

정부는 올해 12월부터 4개월간 1000억원을 투입해 7개의 유망구조 중 1곳에서 탐사 시추를 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노르웨이 시드릴사와 시추선 임대 등 다수의 관련 용역 계약을 맺었다.

올해 들어갈 자금 120억원 외 나머지 약 900억원은 첫 탐사 시추 작업이 마무리되는 시점인 내년에 지급될 예정이어서 내년도 예산에 반영돼야 한다.

정부 관계자는 “(착수금 용도로) 100억원이 조금 더 확보돼 있다”며 “시드릴 사와 계약해 착수금을 줘야 하는 등 대부분이 착수금, 계약금”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와 석유공사는 약 20%의 성공률을 고려했을 때 향후 5년간 최소 5개의 시추공을 뚫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추공 1개에 약 1000억원씩, 5000억원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분석된다.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