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훈 경남교육감 "경남형 사회적 돌봄으로, 지역 소멸 문제 해소"

입력 2024-06-27 22:03:48
- + 인쇄
박종훈 경상남도교육감은 27일 의령교육지원청 대회의실에서 취임 10주년 기자 간담회를 열고 당면한 교육 현안에 대해 ‘경남형 사회적 돌봄, 문화예술교육 확산, 교육활동 보호 강화'의 세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박 교육감은 "기술 혁신과 사회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교육, 빈부 격차가 더 커지는 사회, 성적으로 자신을 입증해야 하는 입시의 일상화, 공감과 연대가 사라지고 단절된 개별화가 불안을 낳으며 이것이 저출생과 지역 소멸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종훈 경남교육감

내년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과 새로운 2028학년도 대입 제도 도입애 대해 박 교육감은 "수능이 강화되고 학생부종합전형이 상대적으로 약화된 대입 제도 개편안은 고교학점제를 중심으로 하는 고교 교육과정의 정상적 운영을 가로막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또 교육예산 삭감에 대한 심각성을 우려했다. 그는 "교육예산은 사회적 비용이 아닌 사회적 투자다. 지속 가능한 사회는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높은 관심 속에 만들어진다는 것을 분명히 기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다시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 하는 지점에 와 있다"며 지난 10년의 경험을 바탕으로 당면한 문제를 짚어보고 세 가지 대안을 제안했다.

저출생과 지역 소멸 문제를 '경남형 사회적 돌봄'으로 해소한다. 지역 소멸은 현재 사회적으로도 주목받는 문제다. 특히 의령 지역은 경남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곳이며 지역 소멸 고위험 지역이다.

경남교육청은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사회적 돌봄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공모를 거쳐 도내 2~3개 지역에서 내년 3월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박 교육감은 "돌봄은 교육계의 힘만으로 해결할 수 없다"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고민하고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학생이 행복한 교육을 위해 '문화예술교육 확산'을 강조했다.

현재 경남의 760여개 학교가 참여하고 있는 학교 예술 강사 지원 사업에 올해 예산 20억원을 투입해 6만 시간의 예술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내년에는 예산을 100억원으로 대폭 확대하고 수업 시수를 대폭 늘리겠다"고 말했다.

박종훈 경남교육감

경남교육청은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에서 한단계 더 나아가 대상을 교육행정 직원과 교육전문직원, 교육공무직원, 강사까지 확대하고 피해 교원을 두텁게 지원하기 위해 교원치유지원센터(거제,남해 예정)를 건립할 계획이다.

박 교육감은 "교육활동을 보호하는 것은 교육의 질을 판단하는 척도"라며 교원이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교육력 회복을 우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10년간 경남교육은 공교육의 높은 책무성 속에서 역동적인 배움과 민주적인 문화를 바탕으로 교육 혁신에 힘을 쏟아 왔다"며 "변화하는 시대정신을 담기 위한 미래교육의 주춧돌을 놓았고 학교는 마을로, 마을은 학교로 이어지는 더 큰 배움의 광장을 이루어 왔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는 "교육감으로 남은 시간도 오늘의 행복을 누리는 경남교육, 내일의 변화를 주도하는 경남교육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마무리했다.

의령=최일생 기자 k7554@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