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연립·다세대 전세 중 46% 역전세…‘전세 사기 우려’↑

기사승인 2024-06-11 10:31:02
- + 인쇄
서울 연립·다세대 전세 중 46% 역전세…‘전세 사기 우려’↑
쿠키뉴스 자료사진.

올해 서울에서 발생한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 중 46%가 역전세 주택으로 조사돼 전세 보증금 미반환 사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11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바탕으로 지난 2022년 1∼5월 서울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 4만2546건 중 지난 1∼5월 동일 주소지와 면적에서 발생한 거래 9653건을 비교 분석한 결과, 46%에 해당하는 4437건이 기존보다 전세 보증금이 하락했다고 밝혔다. 역전세 주택의 전세 보증금 차액은 평균 979만원으로 약 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구별로 보면 강서구의 전세금이 2년 새 가장 많이 하락했다. 강서구 역전세 주택의 전세 보증금은 2022년 1∼5월 2억337만원에 지난 1∼5월 1억8097만원으로 평균 2240만원 내렸다. 이어 구로구는 1억8989만원에서 1억7148만원으로 1841만원 하락하고, 중랑구는 2억3545만원에서 2억1734만원으로 1812만원 내렸다. 금천구는 2억1729만원에서 1억9953만원으로 1776만원 줄었다.

역전세 비중이 가장 높은 자치구도 강서구로 조사됐다. 강서구는 거래의 74%가 역전세 주택이었다. 이어 구로구 66%, 금천구·도봉구 각 64%, 양천구·중랑구 각 60%, 은평구 56%, 영등포구 55%, 성북구 50% 순이었다.

앞서 다방은 지난해 6월에도 2021년 1∼5월 서울의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와 2023년 1∼5월 동일 주소지와 면적에서 발생한 거래를 비교 분석한 바 있다. 당시 전세 거래 중 34.7%가 역전세 주택이며 역전세 주택의 전세 보증금 차액은 평균 2589만원(11.2%↓)으로 집계됐다. 이를 올해 조사와 비교하면 지난해 동기 대비 역전세 주택의 전세금 차액은 줄었으나 역전세 거래 비중은 11.3%p(포인트) 증가했다.

역전세는 전세보증금 미반환, 전세 사기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 집값이 정점을 찍은 2022년 체결된 임대차 계약 만기가 다가오며 보증금 미반환 사고도 늘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 1~4월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보험 사고액은 1조9062억원으로 나타났다. 사고 건수는 8786건이다. 지난 1~4월 보증사고는 지난해 같은 기간 1조830억원과 비교하면 76%인 8232억원이 늘어났다.

다방 관계자는 “지난해 6월 분석 당시 역전세난이 심화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전망대로 올해 서울 지역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에서 역전세 거래 비중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당분간 전세시장에서 아파트 쏠림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보여 비아파트의 역전세난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