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해외 임직원 5년전比 23%↑…실적은 희비 갈려

기사승인 2024-06-17 10:28:02
- + 인쇄
5대 은행 해외 임직원 5년전比 23%↑…실적은 희비 갈려
5대 시중은행. 연합뉴스

한국 시중은행들이 해외 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출하고 있지만 실적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시스템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해 말 해외 근무 임직원 수는 2465명이다.

해외 근무 임직원이 가장 많은 은행은 신한은행으로 789명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하나은행 731명 △우리은행 556명 △국민은행 270명 △농협은행 119명이 이었다.

5대 은행 해외 근무 임직원 숫자는 5년 전보다 23% 가량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19년 2003명, 2020년 2072명, 2021년 2124명, 2022년 2299명으로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5대 은행 중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곳은 농협은행이었다. 농협은행은 지난 2019년 말 57명에 불과했으나 5년 새 119명으로 두 배 넘게 증가했다.

5대 은행 지난해 말 본사 직영의 해외 지점 수는 총 62개로 2019년 말 56개보다 10% 가량 늘었다. 지난 5년 동안 국민은행이 8개에서 9개로, 하나은행이 18개에서 19개로, 농협은행이 2개에서 6개로 늘었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14개씩을 유지했다.

다만 일부 은행은 해외에서 적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이 거느린 해외 종속기업(자회사)의 지난해 ‘지배기업 지분 순이익’은 총 8940억원으로 집계됐다.

은행의 해외 부문 당기순이익을 살펴보면, 국민은행은 지난해 적자폭 1114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2022년 적자 5580억원에서 폭이 줄었다. 지난해 인도네시아의 KB뱅크(구 부코핀은행)에서만 1733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NH농협은행도 19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은 흑자를 기록했다. 신한은행은 2022년 4270억원에서 지난해 4824억원으로 순이익이 14% 증가했다. 하나은행의 해외법인 11곳 순익은 2022년 71억원에서 2023년 1129억원으로 급증했다. 우리은행은 2883억원에서 2279억원으로 순이익이 소폭 감소했다.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