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집단지도체제 한다면 ‘친윤’ 중심…“다양성 아닌 당대표 견제”

한동훈‧나경원‧유승민, 정부 비판…친윤과 거리두기
익명 원외조직위원장 “당대표 원톱 체제, 견제 수단 없어”
원내서 관련 내용 자체에 공감대 없다는 의견도

기사승인 2024-05-24 06:00:14
- + 인쇄
與 집단지도체제 한다면 ‘친윤’ 중심…“다양성 아닌 당대표 견제”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소재 국민의힘 중앙당사 간판. 쿠키뉴스 자료사진

국민의힘 일각에서 집단지도체제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다만 기존 의도대로 다양성 측면이 부각되는 것이 아닌 친윤석열계(친윤계) 중심의 당대표 견제형 지도부가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물망에 오른 당대표 후보들이 일제히 정부를 견제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친윤계가 결집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이유다.

24일 쿠키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집단지도체제가 도입된다면 목적성이 바뀔 거 같다는 전망이 나온다. 당내 3040 총선 후보자 모임인 첫목회는 지난 7일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에게 집단지도체제 도입을 제안한 바 있다. 황 위원장은 같은 날 KBS라디오 전격시사에서 “최고위원들 간 이견이 표출되면 수습하기 어려워진다”며 부정적 입장을 표출했다.

집단지도체제는 전당대회에서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서 선출하는 것이 아닌 한 번에 선출하는 방안이다.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인사가 당대표가 되고 후순위는 최고위원을 맡게 된다. 그렇게 되면 인지도가 높은 인물이나 중진급 의원들이 최고위원을 맡게 돼 다양성을 지향할 수 있다. 또 중량감 있는 인사들이 목소리를 내기 때문에 수직적 당정관계 탈피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목적성이 변동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근 당대표 후보군에 오르는 인물들 모두 친윤 정서와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실제 하마평에 오른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유승민 전 의원, 나경원 당선인은 모두 최근 정부의 해외 직구 정책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이에 집단지도체제에 대한 목소리가 나온다면 대통령의 수직적 당정관계에 대한 견제가 아닌 친윤계 중심으로 당대표 견제가 될 거라는 의견이 대두된다. 익명을 요구한 국민의힘 원외당협위원장은 23일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집단지도체제의 장점으론 하마평에 오르는 인물들 중 한 전 위원장과 유 전 의원, 나 당선인, 수도권 기반 윤상현‧안철수 의원이 있기 때문에 이들이 이재명 대표 원톱인 더불어민주당과 다른 다양성을 보여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특정인이 당대표가 됐을 땐 원톱 체제를 견제할 수단이 아예 없다”며 “이렇게 된다면 친윤계에서 전당대회를 앞두고 집단지도체제를 고민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망했다.

전당대회를 앞두고 친윤계 중심 집단지도체제가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다는 관측은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 2016년 총선 공천 과정에서 김무성 대표가 집단지도체제를 꾸렸지만 내분이 일어나 ‘옥새 파동’을 일으키고 패배한 사례가 있다. 이 같은 사례를 비출 때 친윤계가 집단지도체제를 의제로 꺼낼 수 있다는 의견이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23일 쿠키뉴스에 “친윤 쪽에선 전당대회를 뒤로 미루거나 당원 비율 변경에 대한 고민이 있을 것”이라며 “만약 모두 뜻하는 대로 되지 않을 경우 집단지도체제로 가서 당권 견제형 비대위로 가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여권 관계자는 같은 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집단지도체제가 된다면 당대표 손발이 모두 묶일 것”이라며 “최고위원회 의결을 거치지 않고 당대표 개인이 할 수 있는 게 하나도 없다. 일종의 묘수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원내에선 집단지도체제에 대해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은 상황이다. 복수의 의원들은 전당대회 당원 100% 투표 비율 변경과 관련해 의견이 나오지만 집단지도체제에 대해선 구체적인 목소리가 없다고 밝혔다.

윤상호 기자 sangho@kukinews.com

與 집단지도체제 한다면 ‘친윤’ 중심…“다양성 아닌 당대표 견제”
與 집단지도체제 한다면 ‘친윤’ 중심…“다양성 아닌 당대표 견제”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