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명 뇌전증 환자, 수술 로봇 애타게 기다려

글‧홍승봉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 위원장(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기사승인 2024-06-20 09:34:03
- + 인쇄
1만 명 뇌전증 환자, 수술 로봇 애타게 기다려
4대 병원들의 뇌전증 환자 수는 각각 1만 명에 달한다. 4대 병원들이 약 4만 명의 뇌전증 환자들 치료하고 있으므로 공공의료적인 성격이 매우 높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뇌전증의 치료와 관리는 공공의료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국가는 뇌전증 관련법을 제정해 관리해야 한다고 선언했다. 

따라서 4대 병원은 뇌전증의 치료와 관리에 우선적인 지원을 해야 하고, 뇌전증 교수들은 공익적인 자세로 환자의 치료와 사회복지 관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국내 36만 뇌전증 환자들 중에 약 11만 명은 2가지 이상의 항경련제로 조절되지 않는 약물 난치성 뇌전증 환자로 뇌전증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그 중에도 돌연사율이 30배 높은 중증 난치성 뇌전증 환자와 가족은 수술을 받지 못하면 언제 사망할지 모르는 두려움과 공포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중증 뇌전증 환자들이 가장 많이 찾아가는 곳이 4대 병원이다. 하지만 환자들은 4대 병원을 방문해도 수술에 대하여 설명을 제대로 듣지 못하고 수술을 받지도 못하고 있다. 

4대 병원들은 다른 곳에서 할 수 없는 어려운 뇌전증 수술을 지원하고 가능한 많은 중증 뇌전증 환자들에게 수술을 제공해야 한다. 최신 뇌전증 수술(SEEG 삼차원뇌파 수술)을 하기 위해서는 수술 로봇이 꼭 필요하다. 뇌전증 수술 로봇은 정부가 필요성을 인정하고 지원하는 핵심 사업이다. 

뇌전증 수술 로봇은 삼성서울병원에 2대, 세브란스병원에 1대, 서울대어린이병원에 1대가 있으나 서울아산병원에는 한 대도 없다. 최근 1년 동안 뇌전증 수술 건수를 보면 삼성서울병원(50건)과 세브란스병원(30건)이 서울대병원(5~10건)과 서울아산병원(5~10건)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이 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은 국내 최대병원으로 책임과 사명도 그 만큼 크다. 그런데, 수술 로봇이 없어서 뇌전증 수술을 다른 4대 병원들의 5분의 1도 못하다면 부끄러운 일이다. 올해 뇌전증 수술 로봇의 2차 공모가 떴다. 정부가 수술 로봇 장비 값의 70%를 지원한다. 서울아산병원이 30% 지원도 못한다면 큰 실망이고, 적어도 뇌전증에 있어서는 4대 병원 이름을 반납해야 한다.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