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게임즈 “스톰게이트, MZ세대 첫 RTS 될 것”

버디봇과 콘텐츠 차별화…초심‧숙련자 투트랙 공략
게임 스트리머 우왁굳과 협업 기획…e스포츠 리그도
“페이 투 윈 없을 것” 스킨 등 부분 유료화

기사승인 2024-06-18 17:55:35
- + 인쇄
카카오게임즈 “스톰게이트, MZ세대 첫 RTS 될 것”
카카오게임즈는 18일 서울 강남 역삼동에서 프로스트 자이언트 스튜디오가 개발한 신작 ‘스톰게이트’ 개발사 인터뷰를 진행했다. 사진=유채리 기자

카카오게임즈가 퍼블리싱하고 프로스트 자이언트 스튜디오(FGS)가 개발한 RTS(Real-Time Strategy) 장르 ‘스톰게이트’가 베일을 벗었다. MZ세대를 주축으로 신규 이용자와 기존 RTS 이용자 모두를 사로잡는 게임으로 거듭나겠다는 포부다.

카카오게임즈는 18일 서울 강남 역삼동에서 8월 출시를 계획하고 있는 신작 ‘스톰게이트’ 개발사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에는 한상우 카카오게임즈 대표, 김상구 카카오게임즈 사업본부장과 개발사인 FGS의 팀 모튼 대표, 카라 라포지 사업책임자 등이 참석했다.

버디봇 등 습득 도울 시스템 마련…협동전 등 다양 콘텐츠

카카오게임즈는 RTS를 그리워하는 기존 이용자와 새로운 이용자를 모두 사로잡을 수 있는 콘텐츠와 서비스 등을 통해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스토리 미션과 협동전, 경쟁전 등 다양한 콘텐츠가 기획돼있다. 새롭게 게임을 접하는 이용자를 위해 습득을 위한 버디봇 옵션도 제공할 예정이다.

김상구 카카오게임즈 사업본부장은 “초심자와 숙련자 중 특정한 한 쪽만 타깃으로 설정하진 않았다”며 “RTS 장르가 어렵다고 인식됐던 부분을 해소하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팀 모튼 FTS 대표 역시 접근성을 높이는 데 집중했다고 이야기했다. 그는 “무료 출시를 결정한 것도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퀵 매크로를 통해 게임을 돕고 클릭을 많이 하지 않아도 빌드 자체를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여러 시스템을 준비했다”고 했다.

카카오게임즈 “스톰게이트, MZ세대 첫 RTS 될 것”
카카오게임즈는 18일 서울 강남 역삼동에서 프로스트 자이언트 스튜디오가 개발한 신작 ‘스톰게이트’ 개발사 인터뷰를 진행했다. 사진=유채리 기자

숙련자가 새롭게 느낄 수 있는 부분도 마련했다. 익숙한 종족인 인류 ‘뱅가드’와 악마 ‘인퍼널’, 천사 ‘셀레스철’ 등 세 종족이 등장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동시에 신선함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희생⋅힘 등을 테마로 각 종족을 개발했으며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서도 노력을 기울였다.

MZ세대 공략 집중…e스포츠 리그 활성화 목표

게임 주력 이용자층으로 떠오른 MZ세대 공략에도 힘을 싣고 있다. 게임 스트리머로 유명한 우왁굳과 협업도 예정돼있다. 김 본부장은 “3~4년 전부터 MZ세대가 나서 스타크래프트1을 활용한 콘텐츠를 만드는 등 새로운 놀이문화를 형성하고 있다”며 “한국은 RTS에서 AOS를 건너 띄고 모바일로 넘어왔다고 생각한다. 그런 이들이 다시금 전통 RTS 게임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런 부분에 착안해 그들의 첫 RTS 게임이 되려고 여러 콘텐츠를 준비하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e스포츠 리그 활성화에도 집중하고 있다. 올해 커뮤니티 토너먼트와 글로벌 챔피언십이 열릴 예정이다. 이어 2025년에는 북미, 유럽, 한국, 중국 등 6개 지역에서 지역 리그를 운영한 후, 글로벌 챔피언십도 이어 개최하려 한다. 김 본부장은 “궁극적으로 e스포츠로 성공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대중적으로 성공해야 장기적으로 라이브할 수 있으리라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게임즈 “스톰게이트, MZ세대 첫 RTS 될 것”
18일 서울 강남 역삼동에서 진행한 스톰게이트 개발사 인터뷰에 참석한 주요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상구 카카오게임즈 사업본부장, 팀 모튼 프로스트 자이언트 스튜디오 대표, 카라 라포지 프로스트 자이언트 스튜디오 사업책임자. 사진=유채리 기자

“새로운 RTS 요구 목소리 높아져…스톰게이트에 기회될 것”

일각에서는 인기 RTS 후속작들이 전작에 비해 흥행에 실패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팀 모튼 FGS 대표는 “개발하기 굉장히 힘든 장르다. 선과 악이 뚜렷하지 않고 캐릭터 매력과 세계관이 중요한 장르”라며 “많은 경험과 노력이 필요한 분야”라고 분석했다.

김 본부장은 “한국 시장에 한정한다면 기술이 크게 발전했지만, 역설적으로 너무 잘 됐기에 대중성 벽에 갇힌 부분이 있다”며 “긴 공백이 있었고 시장에서 새로운 RTS 게임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오히려 스톰게이트에는 이러한 상황이 새로운 기회가 되리라 생각한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게임은 무료로 플레이할 수 있다. 인게임에서 스킨, 캠페인, 영웅 등 콘텐츠에서 부분 유료화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용자가 원하는 게임 콘텐츠에 맞춰 집중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다. 팀 모튼 FGS 대표는 “본인이 즐기고 싶은 부분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이런 부분에서 자유도를 높이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카라 라포지 FGS 사업본부장은 페이 투 윈(Pay to Win)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게임 내 경쟁력에 과금이 영향을 미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채리 기자 cyu@kukinews.com
카카오게임즈 “스톰게이트, MZ세대 첫 RTS 될 것”
기사모아보기